[토목공무기초] 체적환산계수(f)

2022. 2. 22. 13:21토목공무기초

토공관련 기계경비 산출을 위한 체적환산계수(f) 적용시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.

아래 적용사례 및 예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.

   

 

1. 체적환산계수(f)

            구하는 Q
기준이되는 q
자연상태의
체적
흐트러진상태의
체적
다져진상태의
체적
자연상태의 체적 1 L C
흐트러진상태의 체적 1/L 1 C/L

 

[참고] L, C값

* 대규모 : 토질 시험을 통해 결정

* 소규모 :  < 공통품셈 1-3-7 > 참고.

* 신규단가 작성 시 통상 현장의 설계기준 적용.

 

 

2. 대표적인 적용사례

체적환산계수 적 용 예
f = 1/L 흙깍기, 터파기, 잔토처리 등 (Q: 자연상태)
f = C/L 흙쌓기, 되메우기, 순성토운반 중 적재, 관부사 등 (Q: 다져진상태)
f = 1 골재, 모래부설 등 (Q: 흐트러진상태)

 

3. 적용예시

 

가.  f = 1/L (Q 자연상태)

 

1) 흙깍기 (토사, 굴삭기0.7㎥)

 

q = 0.7,  f = 1/1.24 = 0.81, k = 0.9, E=0.9, Cm = 20sec(135˚) 

Q = 3600 x q x k x f x E / Cm

   = 3600 x 0.7 x 0.9 x 0.81 x 0.7 / 20

   = 64.3 ㎥/hr

 

2) 사토운반 중 적재 (토사, 굴삭기0.7㎥)

 

q = 0.7,  f = 1/1.24 = 0.81, k = 1.1, E=0.5, Cm = 20sec(135˚)

Q = 3600 x q x k x f x E / Cm

   = 3600 x 0.7 x 1.1 x 0.81 x 0.5 / 20

   = 56.13 ㎥/hr

 

 

나. f = C/L (Q 다져진상태)

 

1) 흙쌓기(토사, 굴삭기0.7㎥)

 

q = 0.7,  f = 0.98/1.24 = 0.79, k = 1.1, E=0.8, Cm = 18sec(90˚)

Q = 3600 x q x k x f x E / Cm

   = 3600 x 0.7 x 1.1 x 0.79 x 0.8 / 20

   = 97.33 ㎥/hr

 

2) 순성토운반 중 적재 (토사, 굴삭기0.7㎥)

 

q = 0.7,  f = 0.9/1.24 = 0.73, k = 0.9, E=0.55, Cm = 20sec(135˚)

Q = 3600 x q x k x f x E / Cm

   = 3600 x 0.7 x 0.9 x 0.73 x 0.55 / 20

   = 45.53 ㎥/hr

 

다. f = 1 (Q 흐트러진상태)

 

1) 잡석부설 (굴삭기0.7㎥)

 

q = 0.7,  f = 1, k = 0.55, E=0.45, Cm = 20sec(135˚)

Q = 3600 x q x k x f x E / Cm

   = 3600 x 0.7 x 0.55 x 1 x 0.45 / 20

   = 31.19 ㎥/hr

 

 

이상입니다.